전체 글(84)
-
[24.05.08] 내일배움캠프 17일차 JAVA TIL - 개인 공부 SWEA 1249
오늘 한 일Web 강의 수강 - 기초 강의튜터님과 피드백 시간피드백 반영 기본 기능 코드 수정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move = [(1,0),(0,1),(-1,0),(0,-1)]T = int(input())def bfs(field, visited, path,que): queue = deque(que) while queue: x,y = queue.popleft() for dx,dy in move: nx, ny = x+dx,y+dy if 0 path[x][y] + field[nx][ny]): visited[nx][ny] = 1 pat..
2024.05.08 -
[24.05.07] 내일배움캠프 16일차 JAVA TIL - 객체지향 프로그래밍
오늘 한 일Web 심화반 강의 수강 - 객체지향 설계scoreDAO 수정및 병합 테스트 케이스 테스트추가 기능 선정컴파일 시점 :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직전의 시점런타임 시점 :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시간 오버라이딩 / 오버로딩 오버 라이딩 -> 올라타다 즉, 이미 있는 기능을 다시 정의하는 것 (매개 인자가 같다)런타임 다형성을 지원하며 이미 컴파일 되어 실행중인 상태에서 메소드가 선택@Overrid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오버라이딩 함수임을 명확히 기재할 수 있다.가독성이 향상되고, 컴파일러를 통해 오류가 방지된다. 오버 로딩 -> 매개인자가 다르게 로딩한다고 이해하면 된다. (정적 다형성 지원)컴파일 시점에 어떤 메소드가 호출될지 결정된다.(매개인자를 보고 맞는 함수로 찾아감) ..
2024.05.07 -
[24.05.02] 내일배움캠프 15일차 JAVA TIL - 개인과제 피드백
오늘 한 일자바 개인과제 피드백Web 강의 듣기0팀과제 기획 및 클레스 다이어그램 작성 튜터님의 피드백을 기반으로,변수명 명확하게 기재하기띄어쓰기가 안되어있는 부분은 ctrl+shft+alt + L로 전체 정렬해주기함수의 기능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분리해서 구현하기등을 수정했습니다.
2024.05.07 -
[24.05.02] 내일배움캠프 14일차 JAVA TIL - Web 기초
오늘 한 일자바 개인과제 - 제너릭 및 stream 수정Web 강의 듣기오늘은 웹 강의를 중점적으로 TIL을 작성하려고 한다! 객체지향 특성 4가지 - 캡슐화, 상속, 추상화 다형성 인터넷 프로토콜 IP(Internet Protocol)인터넷을 통한 통신규약 프로토콜(Protocol)이란? 복잡한 인터넷 세상에서 컴퓨터와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하여 정한 통신규약IP 주소지정한 IP 주소에 데이터를 패킷(Packet) 이라는 단위로 전달한다. IP 방식의 문제점비연결성 → 수신 대상의 현재 상태에 상관없이 전송한다.비신뢰성 → 많은 과정을 거치다가 데이터가 소실된다. 용량이 크면 여러 패킷으로 나뉘어 전송되지만 도착하는 순서가 뒤바뀐다.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..
2024.05.02 -
[24.05.01] 내일배움캠프 13일차 JAVA TIL - 개인과제 review
오늘은 내가 구현한 것과 과제 답안을 비교해보고자 한다.물론 틀린 코드는 없지만 해설이 더 간결하기에..! 정리해보고자 한다. 1-2 // 기존 형태while(true){if(종료조건) break;}// do - whiledo{}while(!(종료조건)) // 기존 형태String ans = sc.next()if (ans.equals("remove")) // 지우는 코드 // 개선 코드if (Objects.equals(sc.next(),"remove")) // 지우는 코드 모든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예외처리 하는 연습도 필요함.예를 들면 숫자를 입력받는 란에서 숫자가 아닌게 들어왔을 때 제대로된 값이 들어올 수 있도록 구현하기 // 부모 클래스의 인자에 접근하고 싶은 경우s..
2024.05.01 -
[24.04.30] 내일배움캠프 12일차 JAVA TIL - Thread, 모던 자바
오늘 한 일5주차 강의 수강 수기를 남기기에 앞서 교육 내용이 많아, 평소 헷갈렸던 개념 위주로 T.I.L을 작성했다. wait와 notify: 두 함수는 한 쌍으로 쓰인다.sync로 침범을 막은 코드를 수행하다가 더이상 진행할 상황이 아니면, lock을 반납하고 wait()함수를 사용해 waiting pool에서 대기를 한다.그러다 notify(통제) 함수가 호출되면 다시 나와서 작업을 수행한다.import java.util.*;public class Main { public static String[] itemList = { "MacBook", "IPhone", "AirPods", "iMac", "Mac mini" }; public static AppleStore ..
2024.04.30